아름다운 사랑의 교제를 나누는 사랑방

2025/01/23 6

♧ 상생의 ‘V’!!

♧ 상생의 ‘V’!! 겅호(Gung Ho)를 아는가? 겅호는 중국어 ‘공화(工和)’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는 무한한 열정과 에너지, 그리고 임무에 대한 충성의 의미로, 구호나 인사말로 사용된다. 요즘 많이 쓰이는 ‘파이팅’과 비슷한 의미다. 세계 2차대전 중 미 해병 특공대의 업적을 다룬 ‘겅호’라는 책과 영화로 이 표현이 일반화되었다고 한다. 2000년 조지 부시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그의 선거 캠프에서 ‘겅호’를 외쳤을 정도로 미국에서는 폭넓게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다.기러기는 역 브이(V)자 형태로 날아간다. 이것은 맨 앞의 기러기가 바람을 일으켜 뒤따르는 기러기가 힘을 아끼도록 해주어 71%나 더 많이 비행하게 해준다. 그런데 기러기는 조용히 날아가지 않는다. 늘 시끄러운 소리를 내며 난다. 그것은..

생명의 샘터 2025.01.23

♡ 순종과 제사!! ♡

♡ 순종과 제사!! ♡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 순종이 제사보다 더 낫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순종이란 마음의 중심에서 나오는 전인격적이며 내적인 순종이지만 제사란 짐승을 잡아 바치는 외적인 순종으로서 숫양의 살과 기름과 피에 불과합니다. 자연히 습관적인 제사의식 속에는 마음의 진정성이 빠질 수가 있겠지요. 이스라엘의 초대왕인 사울은 과거,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나올 때 그들을 공격했던 아말렉의 죄를 물으시면서 그들을 쳐서 모든 사람과 짐승을 남김없이 죽이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지만, 이에 순종하지 않고 아말렉의 왕인 아각을 포로로 잡았습니다. 자신의 명예를 위해서였지요. 또한 양과 소의 가장 좋은 것과 기름진 것을 남겼습니다. 한마디로 자신의 유익을 위해 불순종의 죄를 지은 겁..

< 내 맘속의 교만 : 자꾸만 요구하는마음!! >

| 묵상나눔터 | 정기구독신청 |--> 인쇄하기 |내 맘속의 교만 : 자꾸만 요구하는마음큐티와 말씀 읽기내가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일에 배부르며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 빌립보서 4:12 )해피와 생각하기자꾸만 달라고 하는 사람들은 고난과 인내의 본보기가 될 수 없다. 그들은 자신의 권익만을 내세우며, 참을성이 없고 감사할 줄 모른다. 그들에게 지옥은 무척이나 비위 상하는 말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당연히 받아 누려야 한다고 생각할 뿐 우리 모두가 원래는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있지 못할 존재였음을 깨닫지 못한다. 그들은 회개하며 울부짖고 용서를 구한뒤에 그가 받을 만한 것 이상의 어떤 것을 받더라도 더 좋은 어떤 것을 요구한다. 그들은 지옥의 바깥에 ..

♡ 자녀 관계!! ♡

♡ 자녀 관계!! ♡ 행복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도 영혼의 나이에 달려 있다. 부모 영혼의 나이가 20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부모는 자녀를 양육할 수 있다. 하지만 둘 다 어리다면 이것은 비극이다. 그들은 평생 싸우며 원수처럼 산다. 부모가 어리고 자녀가 성숙해 있다면 별 분쟁은 생기지 않지만 자녀는 잿빛 가득한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된다. 어린 부모는 자식을 압제하며 억압한다. 그들 자신의 가치관과 철학을 강요한다. 그들이 사랑이라고 믿는 방식으로 자녀를 괴롭힌다. 어린 부모는 자녀의 특질과 사명을 발견하지 못하며 그저 영악한 자녀가 되어 세상에서 출세하도록 가르친다. 자녀가 맞고 들어오면 그는 불같이 화를 내며 수준 낮은 가치관을 자녀에게 쑤셔 넣는다. 세월이 흐른 후에 ..

지혜탈무드 2025.01.23

♣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연단과정!! ♣

♣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연단과정!! ♣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설인 ‘죄와 벌’ 그리고 ‘카르마조프의 형제들’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 소설의 저자는 1821년 11월 11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바로 러시아의 대문호였던 표도르 도스토옙스키(Fyodor Mikhailovich Dostoevskii)입니다. 그의 모친은 폐결핵으로 사망했으며, 빈민구제 병원의 의사였던 그의 부친은, 도스토옙스키가 16살이었을 때 농민들의 손에 의하여 살해되었습니다. 그는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받으면서 젊은 시절을 보내야만 했습니다. 간질병이 있었던 그는 사회주의 사상에 물들어 있었으며 1849년 봄에 페트라셰프시키 사건에 연좌되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도스토옙스키는 소련 황실에 의해 체포가 되고..

사랑 2025.01.23